제200회 김천시의회(제2차 정례회)
자치행정위원회 회의록
제3호
김천시의회사무국
일시 2018년 12월 6일(목)
장소 자치행정위원회 회의실
의사일정
1. 2019년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 예비심사의 건
심사된 안건
1. 2019년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 예비심사의 건(계속)
자리를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지금부터 제200회 김천시의회 제2차 정례회 자치행정위원회 제3차 회의를 개의하겠습니다.
기 배부된 의사일정안에 의거, 2019년도 자치행정위원회 소관 부서별 예산안에 대하여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1. 2019년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 예비심사의 건(계속)
(10시02분)
지금부터 새마을문화관광과 예산안에 대하여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새마을문화관광과장님 나오셔서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새마을문화관광과장 이도우입니다.
예산안 제안설명에 앞서 먼저 담당 계장 소개드리겠습니다.
(계장소개)
지역 발전을 위해 시민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늘 애쓰시는 이진화 자치행정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19년도 새마을문화관광과 소관 본예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위원님께서 양해해 주신다면 천만 원 이하 소규모 사업과 경상적경비는 서면으로 대신하고 천만 원 이상 주요 사업 위주로 보고 드리겠습니다.
255쪽입니다.
새마을문화관광과 예산은 462억 6,228만 9천 원으로 정책사업비 460억 8,157만 7천 원, 행정운영경비 1억 8,071만 2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57쪽입니다.
새마을시설 확충 관리사업 예산은 2019년 신규 시책으로 마을회관 종합 리모델링 사업을 실시함에 따라 전년 대비 2억 원이 증액된 6억 3,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면민복지회관 보수사업으로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면민복지회관은 총 8개소이며 복지회관 활성화를 위해 읍·면·동장의 요청에 따라 보수가 시급한 복지회관에 대하여 사업을 시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을회관 보수사업은 건립한지 20년 이상이 된 노후 마을회관에 대해서 보수 필요 정도에 따라 종합 리모델링사업은 개소당 5천만 원, 부분 리모델링사업은 개소당 1,500만 원을 지원함에 따라 전년 대비 2억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마을회관은 총 307개소로 매년 40개소 내외를 상·하반기에 걸쳐 보수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는 건립 연한이 오래 되고 구조 상태가 불량한 마을회관에 대해 시범사업으로 개소당 5천만 원 한도 내에서 종합리모델링사업을 시행할 계획입니다.
새마을운동 역량강화사업에 2억 5,793만 2천 원으로 전년 대비 2,041만 2천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새마을소득특별지원운영 특별회계 폐지에 따라 기존의 융자금 회수를 위한 사무관리비, 공공운영비를 편성하면서 증액된 것입니다.
259쪽입니다.
해외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 출연금에 1억 5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새마을지도자 쓰레기 봉투 지급에 1,260만 원을 금년도와 동일하게 계상하였습니다.
이것은 매년 천여 명의 새마을지도자에게 20리터 쓰레기봉투 30장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새마을운동 국제화사업에 2,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새마을운동 국제화 사업은 개발도상국을 방문하여 새마을운동 정신을 전파하고 화장실, 우물, 쓰레기소각장 등을 지어주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새마을여성합창단 공연 지원으로 1,590만 원, 새마을교통봉사대 교통질서 확립사업 지원으로 2천만 원, 새마을지도자 한마음다짐대회 예산으로 1,200만 원,새마을생명살림 운동 지원사업에 1,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새마을생명살림 운동 지원사업은 저탄소 녹색 생활화 새마을운동 지원사업에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다음은 공동체 정원사업 지원에 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동체 정원사업은 2016년 봉산면에 위치한 황악예술체험촌에 정원조성 공모사업으로 특별교부세 5천만 원, 도비 3천만 원, 시비 7천만 원 등 총사업비 1억 5천만 원으로 조성되었습니다.
2019년도에는 프로그램 운영 및 정원 관리비용으로 천만 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바르게살기운동 사업지원 예산으로 녹색생활실천 발효 미생물 보급 지원에 천만 원, 찾아가는 경로당 운영 지원에 천만 원, 여성회 지원사업에 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민간단체 법정 운영비 보조로 새마을운영비에 1억 천만 원, 바르게살기협의회 운영비로 6,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60쪽입니다.
새마을지도자 상해보험 가입은 전년 대비 1,500만 원이 증액된 5,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것은 올해 두 건의 새마을지도자 사망 사고로 인해 최근 3년간 보험 손해율이 200%가 넘게 됨에 따라 보험가입 예산을 증액하게 되었습니다.
다음은 새마을지도자 자녀 장학금 지급에 도비 800만 원을 포함, 1,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1세기 새마을운동 추진 운영 예산에 도비 930만 원을 포함해 3,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것은 김천시새마을회 직원들의 각종 수당 및 사무실 운영비로 사용됩니다.
다음 행복한 보금자리 만들기 사업으로 도비 576만 원을 포함, 2,400만 원을 전년도와 동일하게 편성하였습니다.
이 사업은 가구당 200만 원씩 생활이 어려운 12가구를 선정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해 주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261쪽입니다.
바르게살기운동 활성화 추진 운영 지원에 도비 300만 원을 포함 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바르게살기협의회 사업비 및 사무관리비로 충당되는 예산이 되겠습니다.
다음 문화예술업무 추진 예산에 5억 8,570만 원으로 전년 대비 3,268만 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262쪽입니다.
문화예술행사 운영비로 1억 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 예산은 문화예술 관련 행사운영비로 각 읍·면·동에서 개최되는 문화예술활동을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상설 문화예술활동 지원으로 1,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것은 강변공원 및 직지문화공원 등 시민과 관광객이 많이 찾는 다중 장소에서 길거리콘서트공연 예산이 되겠습니다.
연간 53회 정도 개최하는데 동아리 단체에 공연 1회당 30만 원 정도를 지원하는 예산입니다.
그리고 경로당 및 마을회관 등 찾아가는 가요교실 운영으로 2천만 원을 금년도 수준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지역문화예술단체 지원에 3,5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향지 국역본 발간으로 2천만 원, 제17회 김천전국사진공모전으로 천만 원, 부항댐 물문화관 전시에 전년과 동일하게 천만 원의 예산으로 향토 및 출향 작가의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 편성하였습니다.
제27회 김천예술제 행사 지원으로 9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이 예산은 예총 산하 7개 지구별 행사 개최에 지원하는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263쪽입니다.
파파로티 성악콩쿠르 지원에 2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도비 1억 원을 지원받고 김천시에서는 홍보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홍보예산으로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금년도 8월 문화예술회관에서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파파로티 성악 콩쿠르 대회에 중등부, 고등부, 대학부로 진행하는 경연대회에 184명이 신청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다음 제2회 전국동요대회 개최 지원에 5,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어린이들이 재능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문화·예술도시로서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기획된 이 대회는 금년도 10월, 11월 예선, 본선을 거쳐 개최되었으며 올해 처음 개최된 대회였음에도 불구하고 전국에서 신청자가 많아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내년도에는 500만 원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팝스오케스트라 연주회 지원으로 1,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클래식의 본고장인 김천의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하여 전년도 대비 300만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장계향 선양사업으로 천만 원, 문집 국역사업 지원으로 3천만 원, 어린이학습뮤지컬 개최에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총김천지부 운영비로 올해는 전년과 동일하게 7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전통문화행사 지원으로 1,098만 원을 전년과 동일하게 계상하였습니다.
정월대보름 행사 지원에 3,5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산내들 한여름밤음악회 개최 지원으로 3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것은 부항댐을 찾는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부항댐의 풍광과 함께 볼거리, 즐길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 김천가족영화제 개최 지원으로 4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금년도 강변공원과 부항 산내들공원에서 개최하였으나 내년에는 시민들이 많이 찾는 강변공원과 율곡동 안산공원에서 상영할 계획입니다.
264쪽입니다.
봄과 함께 하는 벚꽃음악회로 2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것은 한국예총에서 주관하며 벚꽃 개화 시기에 시민들의 문화욕구 충족을 위해 전시회 및 작은 음악회를 개최하는 예산이 되겠습니다.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7,125만 5천 원으로 편성하였는데 국비가 50% 보조되는 사업이며 관내 초·중·고등학교 30여 개 학교에 국악 강사를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금년도에 초등학교 28개, 중학교 3개, 고등학교 3개 등 총 34개 학교에 지원한 바 있습니다.
부처님오신날 행사 지원으로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김천문화제 행사 지원사업으로 올해보다 1천만 원 증액된 4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매계백일장 개최 지원으로 천만 원, 김천문화제 행사 지원으로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김천문화제는 김천문화원이 주관하며 성년식, 고택음악회, 민속장기대회, 전통혼례식, 동지맞이 팥죽 나누기 행사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65쪽입니다.
성탄절 행사 지원 예산으로 금년도와 같이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김천시기독교총연합회에서 주관하며 올해는 김천역 광장에서 3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탄절 점등식을 개최하였습니다.
지방문화원사업 활동 지원으로 3,7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사업 내용은 문화학교 운영, 국제문화교류, 삼도문화가족 화합대회, 김천문화 책자 발간 사업을 추진합니다.
지방문화원 운영비로 금년 대비 3,400만 원 증액된 1억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증액된 사유는 현재 사무국장 외 1명으로 각종 행사 추진에 어려움이 있어 타시·군의 사례를 비교 검토하여 추가로 한 명을 채용하기 위함입니다.
문화의집 위탁 운영으로 남산동 노인복지관 3층에 문화의집을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사업 내용으로 교육사업 등 8개 과목 13개 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노후된 사무용품 및 모니터 등 수리 소요가 늘어남에 따라 교체 비용으로 올해보다 500만 원 증액된 9,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66쪽입니다.
백수문학관 운영으로 시설비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 예산은 방문객 편의 제공 및 우기시 배수 불량에 따른 원활한 배수 처리로 건물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자 하며 이에 따라 전체 백수문학관 운영비는 5,225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67쪽입니다.
시립미술관 운영을 위해 전년과 동일한 6,068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69쪽입니다.
김천시립미술관 전시 및 문화강좌 예산은 전년 대비 500만 원 감액된 2,8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지역작가 및 지역 연합?? 특별전을 반영하였고 금년 어린이 그림그리기대회 미실시로 내년 예산에서 감액하였습니다.
학교 내 마을도서관 조성 운영 지원예산으로 도비 360만 원을 포함, 1,2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이것은 금년과 마찬가지로 도서관이 없는 농어촌지역 학교 도서관을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는 사항으로서 사서운영비를 지원하는 예산이 되겠습니다.
다음 지역문화사랑방 운영 지원 예산으로 도비 500만 원을 포함, 1,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것은 종교시설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운영 지원사업으로 황금동교회에서 주관하는 사업입니다.
270쪽입니다.
제17회 김천국제가족연극제 개최 지원사업비로 전년도 대비 1억 8천만 원 증액되었습니다.
도비 1억 2천만 원을 포함, 총사업비 5억 원으로 계상하였습니다.
통합문화이용권 지원사업은 4억 8,488만 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기금지원사업으로 기금이 70% 가까이 지원되는 사업이 되겠으며 관내 기초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에게 문화나 여행, 스포츠관람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내년에는 만 원이 증액된 개인당 8만 원을 지급할 예정이며 2021년까지 연간 1인당 10만 원까지 증액할 예정입니다.
황악예술체험촌 운영 예산은 1억 2,454만 8천 원으로 전년도 대비 1,053만 2천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주요 증액 사유는 인건비 703만 2천 원, 공공운영비 350만 원, 벤치구입 500만 원입니다.
271쪽입니다.
제5회 황악산전국가요제 개최 지원 예산은 전년도 대비 100만 원이 감액된 2천만 원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백수문화제 개최 지원 예산은 도비 1억 원을 포함, 2억 원으로 전년도 대비 1억 4,500만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김천 출신 현대시조문학의 대부 백수 정완영 시인을 기리기 위한 문화제로 내년에는 김천시 승격 70주년 기념사업으로 개최되며 백수시조한마당, 시조낭송대회, 백일장, 추모 음악제 등의 행사를 개최합니다.
272쪽입니다.
제6회 전국김천상모놀이 경연대회는 전년도 대비 2천만 원 증액된 6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 대회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농악 중에서도 단연코 가장 으뜸 볼거리로 집단적인 합주와 군무로 세계 유일의 우리 지역만의 특색 있는 축제이며 올해 전국 김천상모놀이경연대회는 10월 27일 직지문화공원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어울림예술장터 지원으로 도비 천만 원을 포함, 4,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혁신도시 내 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비로 89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혁신도시 입주민들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사업으로 국비 30억 원 혁신도시건설 특별회계이고 도비 9억 원, 시비 5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현재는 중앙 투자심사 보완 중에 있습니다.
직지사 일대에서 개최되는 제2회 호국선양대제전 지원 예산으로 총 1억 5천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금년 호국선양대제전 행사는 10월 12일부터 14일까지 직지사 일원에서 개최한 바 있습니다.
뮤지컬 ‘77인의 영웅’ 순회공연 지원사업으로 2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뮤지컬 ‘77인의 영웅’은 경부고속도로 공사 당시 순직한 77명을 추모하기 위해 자체 제작한 감동 스토리 뮤지컬로 8월 31일부터 9월 1일까지 올해 문화예술회관에서 공연하였습니다.
273쪽입니다.
노들강변 가요제 개최를 위해 도비 1,500만 원, 시비 1,500만 원 등 총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김천 출신의 작곡가 문호월의 노들강변을 기리기 위해 노래비가 있는 김천에서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기획된 가요제입니다.
제27회 경상북도 풍물 대축제는 23개 시·군에서 매년 차례대로 개최되는 행사로서 내년에는 우리 시에서 경북문화원연합회 및 김천문화원 주관으로 시행하며 사업비는 도비 1,600만 원, 시비 6,400만 원 등 총 8천만 원입니다.
다음 매계문화제 개최 지원사업은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매계백일장과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매계문학상으로 나누어 개최하며 천만 원의 도비를 지원받아 총 2천만 원 예산으로 시행합니다.
274쪽입니다.
관광운영 예산은 4억 9,944만 원으로 전년 대비 2억 2,032만 원이 증액되었으며 주요 증액 사유로는 김천대중가요 홍보 예산 및 관광지 내 느린 우체통 프로그램 운영에 1억 50만 원과 산내들 오토캠핑장 체육시설물 설치 등에 1억 1,982만 원입니다.
김천대중가요 예산은 홍보 협약을 통해 추진하고 있고 시정홍보 뿐만 아니라 김천 관광 홍보 등으로 도시 브랜드 강화 및 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2019년도 예산에 계상하였습니다.
275쪽입니다.
주요 관광지 기반시설 설치 및 보수 관리를 위해 각 3천만 원, 산내들 오토캠핑장 체육시설 건의사항을 반영,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매쉬휀스? 및 야간 조명 설치를 위해 2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문화관광해설사 활용사업에 8,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 사업은 우리 시 관광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단 및 안내를 위해 문화관광해설사인 9명에 대한 활동비로서 기금과 도비를 지원받아 1회 6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전년 대비 국·도비 387만 원이 감액된 8,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도·시·군협의체간 협력사업 추진으로 경북중서부권 8개 시·군의 관광협회 분담금으로 전년 대비 도비 600만 원이 증액된 천만 원을 포함, 총 3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76쪽입니다.
야간상품개발 및 운영사업인 김천직지나이트투어 운영에 전년 예산과 동일하게 5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관광박람회 운영비는 전국 및 경북지역 박람회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 시를 홍보하기 위한 부스 임차, 홍보용 특산물 구입 및 홍보물 등을 위하여 2,400만 원 증액된 5,2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수도권 가족 단위 관광객 유치를 위해 체험 김천 가족여행은 전년과 동일하게 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우리 시 주요 관광지를 돌아볼 수 있는 시티투어 운영사업도 전년과 동일하게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문화관광해설사 환경개선사업은 국·도비 보조금을 지원받아 문화관광해설사에게 피복비 등을 지급하는 예산으로 국·도비 198만 원이 감액된 368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77쪽입니다.
관광안내소 및 관광해설사 운영사업으로 KTX관광안내소 임차료 등은 전년과 동일하게 계상하였고 금년도에는 관광안내소 노후장비 교체 비용 2천만 원이 감액된 3,237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78쪽입니다.
수도산 목통령 고로쇠 축제 예산으로 전년 대비 500만 원 감액된 천만 원으로 계상하였습니다.
참고로 수도산 목통령고로쇠축제는 2017년과 2018년 AI 확산 방지를 위해 축제를 개최하지 못했습니다.
김천시 캠핑장 관리 및 운영 예산으로 전년 대비 1억 157만 원이 증액된 4억 9,547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유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노임 단가가 60,300원에서 66,900원으로 6,600원이 인상되었으며 노동위원회 권고 지적에 따라 기간제근로자 당직수당 7,320만 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279쪽입니다.
전국 여행작가 초청 팸투어는 우리 시 주요 관광 명소를 알리기 위해 전국에서 영향력 있고 인지도가 높은 여행 작가를 통해 홍보하고자 전년과 동일하게 2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전년도에는 행사운영비로 편성 운영하였으나 금년에는 민간행사사업 보조로 편성목이 바뀌어 증액으로 계상되었습니다.
산내들오토캠핑장에서 개최되는 캠핑 페스티벌 운영 예산은 전년 대비 천만 원 증액한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는 관광명소로 알려진 부항댐의 풍광과 함께 최고 캠핑시설을 갖춘 산내들오토캠핑장과 수도계곡의 캠핑시설을 홍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280쪽입니다.
관광안내 표지판 설치 및 개·보수 예산으로 국·도비가 전년 대비 천만 원 감액된 2천만 원으로 계상하였으며 다국어 관광안내지도 제작 예산은 국·도비가 전년 대비 400만 원 증액된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경상북도 관광진흥기금 조성은 자치단체간 부담금 예산으로 2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관광진흥기금은 민선 7기를 맞아 경북 관광의 활성화를 위하여 경상북도와 23개 시·군이 공동 출연하는 것으로 천억 원을 목표로 10년간 시·군별 관광사업체 수, 재정자립도 등을 감안하여 차등 출연, 매년 100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80쪽 하단부입니다.
지정문화재 관리 및 향교문화 전승 보존의 사업 예산은 정부 사업의 규모가 전체적으로 30% 정도 줄었으며 보수사업에 대하여 현지 조사 후 훼손 정도에 따라 예산이 확정되어 전년 대비 20억 정도가 감액된 54억 4,878만 4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81쪽입니다.
문화재관리예산은 최저임금 인상분을 반영한 기준 임금을 제외하면 전년도와 같이 동일하게 편성하였습니다.
282쪽에서 283쪽입니다.
향교문화 전승 보전사업은 도비보조 증액에 따라 전년 대비 120만 원이 증액된 2,3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 사업은 개령·김산·지례 등 3개 향교에 기로연, 석존대제?, 예절교육, 유림 지도자 업무연찬 등에 활용되는 예산이 되겠습니다.
문화재보수정비사업 예산은 문화재 지정시 형상 변경 처리 기준안 마련과 국가 및 도 지정 문화재 긴급보수 공사로 보수 사업의 효율적 유지 관리를 위해 감리비 2천만 원을 증액하여 5,7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국가지정문화재 보수사업은 금릉 조룡리은행나무 보수 정비 1,500만 원, 유지관리 600만 원, 청암사 수도암 석축 정비로 5천만 원, 고방사 아미타설법여래도 보존 처리에 1억 5천만 원, 직지사 유물 수장고 신축 설계에 1억 원 등 총 3억 2,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 사업은 국비가 30% 지원되는 사업입니다.
283쪽입니다.
전통향교 관리사업으로 1,512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 사업은 3개 향교에 향교 관리비 및 전통행사 재연시 필요한 물품구입 예산이 되겠습니다.
다음 도비만 보조되는 전통사찰 보수 정비로 직지사 삼성각 단청보수사업으로 4,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84쪽입니다.
세계도자기박물관 운영 예산으로 240만 원 증액된 9,550만 3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소방안전관리 용역의 수수료 인상으로 240만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285쪽입니다.
세계도자기박물관 보수사업비 3,500만 원은 2006년 완공한 도자기박물관에 대해 관광 이미지 제고 등을 위해 바닥 보수, 도색 등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유지 보수 공사비입니다.
도 지정 문화재 보수로 신리 영천이씨 정려비 보호각 단청 보수사업 2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김산향교 명륜당 번와 보수사업에 4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또한 민간자본사업 보조사업으로 대휴사 석축 보수 및 안내판 설치사업 2억 원, 칠불사 석축 설치사업 1억 5천만 원, 구화사 화장실 개축 및 안내판 설치사업 8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본 사업은 도비가 50% 지원되는 사업입니다.
세계도자기박물관 특별기획전으로 전년도와 동일하게 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특별기획전에 필요한 보험 가입, 운송비, 전시용품 등에 필요한 예산이 되겠습니다.
286쪽입니다.
빗내농악전수관 운영 지원 예산으로 전년 대비 773만 원이 감액된 1억 9,897만 4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사유는 빗내농악 국가무형문화재 승격시 경축 행사 사업비로 2천만 원을 계상한 것입니다.
참고로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해 현재 보유 인증 절차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감된 사유는 전년도 빗내농악페스티벌과 관련하여 읍·면·동 농악강사료로 지원했던 예산 2,948만 원을 감했기 때문입니다.
288쪽입니다.
빗내농악 전승학교 지원으로 3천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김천생명과학고교, 직지초교, 율곡초교 등 3개 학교에 각 천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또한 빗내농악 상설공연 개최 지원에 5천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도비 천만 원, 시비 4천만 원이며 회당 500만 원으로 총 10회를 지원합니다.
무형문화재 보유단체 지원예산으로 96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환내 무형문화재 보유단체는 1개 단체로 금릉빗내농악보존회이며 매달 80만 원씩 지원합니다.
무형문화재 보유자 등 지원 예산으로 7,3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 예산은 경상북도 무형문화재인 금릉빗내농악과 김천징장, 김천과하주에 속한 보유자, 전수교육 조교, 전수장학생에게 지원하는 예산으로 도비 50%, 시비 50% 사업입니다.
289쪽입니다.
문화재 안전 경비 인력배치사업으로 1억 2,310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 사업은 기금이 50% 지원되는 사업으로 직지사 대웅전은 중요 목조 문화재로서 24시간 감시 체계로 안전 및 화재 예방을 위한 것으로 감시원 4명을 채용하여 근무하는데 대한 인건비가 되겠습니다.
290쪽입니다.
문화재 재난 방재 시스템 유지 관리에 2,55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직지사 소방관리 용역비로 2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전통사찰 방재 시스템 유지 보수 사업으로 봉곡사 및 청암사 방재시설 유지 관리에 2,436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참고로 봉곡사 방재 시스템 구축은 2012년도에 하였으며 청암사는 2015년도에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291쪽입니다.
2016년부터 계속사업으로 시행하고 있는 감문국이야기나라 조성사업비로 국·도비를 포함 30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감문국이야기나라 시 발굴 조사 사업비로 3억 원, 부지매입비로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시 발굴 조사비는 발굴 과정에서 추가 확장 발굴할 필요가 있다는 문화재 자문위원회 자문 결과에 따라 사업비 3억 원을 계상하였으며 부지 매입비는 토지 평가 후 1년이 지난 토지 등에 대한 재감정 결과 토지 가격이 상승하여 원활한 보상 협의를 위해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문화재지킴이활동 예산은 천만 원으로 관내 문화재 보존 및 경미한 문화재 수리를 위해 사단법인 우리문화돋움터에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92쪽입니다.
무형문화재 전수관 활성화 사업 예산으로 746만 5천 원을 편성했습니다.
공모사업에 응모하여 당선된 사업으로 금릉빗내농악보존회에서 주관하며 읍·면·동 농악단 교육 및 농악 공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생생문화재 사업 예산으로 4천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마찬가지로 공모사업에 응모하여 당선된 사업으로 사단법인 전통소리마을예술진흥회에서 주관하며 율수대와 봉황대 일원에서 풍류 음악회, 백일장,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전통산사문화재 활용사업으로 2억 1,400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공모사업에 당선된 것으로 청암사에서 주관하며 인형왕후를 주제로 감추어진 역사를 재발견해 조명하는 것으로 에니메이션 제작 연출, 복위식 재현, 사찰음식, 태극권 등을 체험하는 사업입니다.
다음 전통사찰 방재시스템 구축사업비입니다.
용화사 방재시스템 구축사업으로 국비 7,350만 원, 도비 2,205만 원, 시비 5,145만 원 등 총 1억 4,700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293쪽입니다.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은 공모사업에 응모하여 당선된 사업으로 사단법인 우리문화돋움터가 주관하며 지례향교에서 토크 콘서트, 낭독회, 역사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국비 2천만 원, 도비 천만 원, 시비 천만 원 등 총 4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95쪽입니다.
황악산 하야로비공원 조성사업에 184억 8,285만 7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2017년까지 590억이 투입되어 기반시설을 완료하였으며 현재는 평화의 탑, 문화박물관, 건강문화원 등 건축공사와 병행하여 기계·전기·통신·소방 등 복합공사를 추진 중에 있으며 2019년도에는 사업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관광시설 기반조성사업은 관광 자원개발사업 기공 및 준공식 행사운영비로 3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우리 시를 찾는 관광객들의 편의 제공 및 부지 매입을 위해 하야로비공원 시설유지관리비로 1억 원, 무흘구곡 및 인현왕후길 시설 유지관리비로 5천만 원, 관광자원 개발사업 부지매입비로 5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296쪽입니다.
김천부항댐 관광자원화 사업에 21억 4천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지난 11월 1단계로 출렁다리 설치를 완공하고 준공식을 개최하였습니다.
2단계로 2019년부터는 출렁다리를 포함한 교량 경관 개선사업에 착수, 2020년까지 완료할 예정입니다.
다음 추풍령 관광자원화 사업에 12억 6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현재는 기반시설 공사를 추진 중에 있으며 연차별 계획에 의거, 2020년까지 짚코스터, 전망대, 숲속놀이마당, 메인센터 등을 조성, 사업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궤방령 장원급제길 조성사업에 6억 4,8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사업 내용은 궤방령 나들마당, 장원급제 기원센터, 장원급제 광장 등으로 구성되며 금년에는 관련 기관 협의 및 보상 실시, 공사 발주를 하였으며 2019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사업을 착수, 2020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지난번 현장방문 시 의원님이 지적하신 사항에 대해서 사업 내용을 반영하여 충실하게 사업을 진행토록 하겠습니다.
297쪽입니다.
수도계곡 테마관광자원화 사업에 8억 원을 편성하였으며 금년까지는 전주 이설 등 기반시설 공사를 추진 중에 있으며 2019년부터는 숲길 조성, 쉼터 등을 조성하여 2020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김천부항댐 수변경관 조성사업에 12억 6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금년까지는 관계 기관 협의 및 공법 선정 완료 후 공사 발주하였으며 19년부터는 수변 둘레길, 휴게쉼터, 경관 조명 등의 공사를 착수하여 2020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다음 김천의 빛과 풍경 조성사업은 총 30억 원의 사업비로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야간에 머물 수 있는 볼거리와 즐길 수 있는 관광 콘텐츠 개발을 위해 직지문화공원 내 야간 경관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2019년도에는 기본 및 실시설계비로 1억 원을 계상하여 실시설계 완료 후 2021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우리 새마을문화관광과는 전통문화 전승 및 시민 모두가 문화혜택을 누릴 수 있는 행복한 김천을 만들고 관광 산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새마을문화관광과 소관 2019년도 예산안 설명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장시간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질의 답변에 들어가겠습니다.
새마을문화관광과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하실 위원님 계시면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승우 위원님!
이승우입니다.
과장님, 여기 보니까 행사도 엄청 많고 또 시설 관리하는 분야도 굉장히 많은 것 같은데 새마을문화관광과에 관련된 시설이 도대체 몇 군데 되죠, 관리해야 될 시설이?
지금 권역별로 사업을 하고 있는데 직지사 권역에 6개 사업장에 1,236원, 부항댐 권역에 3개 사업장에 265억, 그 다음 수도권 권역에 1개 사업장에 30억, 감문국이야기나라 조성에 1개 사업장에 159억, 그리고 복합센터 건립 사업장에 388억 원이 투입되고 있습니다.
인력을 담당하는 자치행정과에 건의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구상을 좀 해주십시오, 과장님.
부탁드리겠습니다.
다음 질의하실 위원님, 박영록 위원님!
박영록 위원입니다.
260페이지 보시면 민간경상사업 보조 범도민 독서생활화 사업에 980만 원이 신규사업으로 올라왔는데 이게 어떤 사업입니까?
(○새마을계장 정영철, 공무원석에서 - 예, 새마을문고입니다.)
그렇죠?
그래서 나는 바르게살기도 문고가 따로 있나, 그래서 문고에서 하는 보조사업이다, 이 말씀이네요?
(○새마을계장 정영철, 공무원석에서 - 예, 계속사업입니다.)
알겠습니다.
그리고 263페이지 보시면 장계향 선양사업이라고 천만 원 신규사업인데 이것 어떤 사업입니까?
문인인데 현재 여기 가입된 시·군이 20개 시·군이 1,200명으로 가입을 하고 봉사 및 재능기부를 하고 있습니다.
봉사하는 단체라는 말씀이잖아요?
시설비에 한 3,700만 원 돼있고 감리비가 2천만 원 맞습니까?
3,700만 원에 감리비가 2천만 원이 든다,
(○문화재관리계장 김해문, 공무원석에서 – 문화재관리계장 김해문입니다. 제가 말씀드리겠습니다. 이게 지금 감리비가 2천만 원 선 것은 일반 국가 지정 문화재 보수사업하고 도 지정 문화재 보수사업 중에 감리가 필요한 사업에 대해서 감리를 주려고 올해는 계상을 시켰습니다. 그 항목에 있는 게 아니고 밑에 국가 지정 문화재 보수하고 도 지정 문화재 보수사업에 필요한 감리비입니다.)
그러면 꼭 이 3,700에 대한 것이 아니고 다른 것 다 포함해서 그렇게 된다는 말씀입니까?
(○문화재관리계장 김해문, 공무원석에서 – 예, 그렇습니다.)
예, 잘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또 다른 위원님 질의하실 위원님, 김응숙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김응숙 위원입니다.
270페이지 김천국제가족연극제에 올해 작년보다 1억 8천만 원이나 증가됐네요?
그래서 총 1억 8천만 원이 증액됐습니다.
그런데 올해 또 1억 8천 해서 5억이네요?
그런 점을 보완해서 성대하게 치러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그것은 제가 잘 지켜보겠습니다.
그리고 285페이지 구화사 화장실 개축 안내판 설치, 화장실을 어떻게 하는데 8천만 원이나 듭니까?
알겠습니다.
그리고 279페이지에 전국여행작가 초청 투어하는데 천만 원이 늘었네요?
전년도에도 2천만 원이고 금년도에도 2천만 원입니다.
단지 전년에는 저희들이 행사운영비로 편성을 했고 금년도에는 민간행사사업보조로 편성목이 바뀌어서 증가로 잡히게 되었습니다.
이상입니다.
백성철 위원님!
백성철 위원입니다.
261쪽에 하단부에 문화예술활동 문화예술 활성화에서 작년에 29억이었는데 올해 92억이 증액됐어요?
복합혁신센터 89억을 제외하면 올해 순수하게 증액되는 것은 3억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271쪽에 백수문화 한마당 개최 지원에 이것도 작년에 5,500만 원이었는데 올해 1억 4,500만 원이 늘어서 2억이 됐어요?
1억 4,500만 원이 증액됐는데 이것은 타시·군하고 비교해서 좀 더 우리 지역 출신 문학 대부를 좀 더 알리고 이렇게 행사를 거창하게 하기 위해서 증액됐습니다.
(○문화예술계장 박재영, 공무원석에서 – 문화예술계장 박재영입니다. 제가 답변드리겠습니다. 작년에 5,500만 원 갖고 백수문화상이라고 시상식을 하고 백수추모제라고 작년에 보조를 안 받고 직지사공원에서 따로 공연을 했는데 올해는 도의 보조를 받아서 추모제하고 백수문화상하고 같이 해서 행사 규모를 조금 크게 하려고 도비보조를 1억 받아오고 시비 보조를 1억 해서 2억 편성하게 됐습니다.)
이게 그러면 2019년도에 행사를 크게 하게 되면 매년 그 정도는 유지해야 되잖아요?
(○문화예술계장 박재영, 공무원석에서 – 예, 앞으로는 추모제하고 문학상하고 같이 해서 행사 규모를 키워서 매년 개최할 예정입니다.)
도비를 매년 받을 수 있는가요?
(○문화예술계장 박재영, 공무원석에서 – 올해 봐서는 계속 받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게 백수가 우리나라 교과서에도 실릴 정도가 되다보니까 내년에 도비가 매칭으로 내려왔으니까 우리가 거기에 맞춰서 전국적인 행사로 키워보고 만약 도비보조가 줄어들면 우리도 그에 따라서 매칭을 해서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사항입니다.)
내년에 보완과 동시에 지금 올해 국비가 89억하고 금년 2018년도 예산은 23억이 배정이 돼있습니다.
그래서 총 복합혁신센터에 112억의 사업비가 확보가 되어있습니다.
이 분을 기리기 위해서 노들강변 가요제를 개최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이 분이 작곡가로서 상당한 활동을 많이 한 것으로 지금,
왜냐하면 기존 그 분 보다는 아무래도 문화해설사가 우리 지역을 더 잘 알 수 있고 정확한 여행 정보를 안내해 줄거라고 생각해서 문화해설사를 활용해서 하고 있습니다.
278쪽에 여기에도 보면 1억 157만 원이 증액이 됐는데 이게 과장님 설명할 때는 인건비라고 했는데 2억 6,300만 원에서 어떻게 1억이 더 증액이 될 수 있어요, 인건비가?
그것하고 노임 단가가 당초 대비해서 한 10.9%가 인상이 됐습니다.
그래서 증액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시간도 똑같은데.
291쪽 문화재지킴이활동 이것은 아까 뭐 우리문화돋움터?
여기에서 하는 사업 내용이 문화재 보존이라든지 경미한 정비, 홍보, 이런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김산향교, 개령향교, 지례향교 세 개가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십니까?
저는 한 가지만 묻겠습니다.
백성철 위원님 좀 깊이 파고 들어갔으면 싶었는데 저는 생략하겠습니다.
278페이지 수도산 목통령고로쇠축제 지원 삭감이 됐죠?
그게 2017년하고 2018년도에 AI 확산 방지 때문에 개최를 못 했는데 목통령고로쇠축제 축제가 매년 3월달에 축제가 개최되다보니까 날씨 관계하고 이런 관계도 있지만 고로쇠물이 물량이 홍보행사를 할 때 물량이 좀 부족합니다.
그래서,
바람이 불고 날씨 관계에 따라 좀 다른데 지금 이 축제가 저도 더 어려워지는 이유가 반달곰을 풀어놨기 때문에 더 좁아지는 경향이 있거든요.
좀 어려운데 삭감하는 게 안 맞지 않나 그런 의미에서 질의했습니다.
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동료 위원 여러분, 회의가 시작된지 장시간이 지났습니다.
휴식을 위하여 잠시 정회를 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습니까?
(「예.」하는 이 있음)
11시 20분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11시08분 회의중지)
(11시23분 계속개의)
다음은 스포츠산업과 예산안에 대하여 심사하겠습니다.
스포츠산업과장님 나오셔서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스포츠산업과장 구영훈입니다.
항상 시정발전을 위해 애쓰시는 이진화 자치행정위원장님을 비롯한 시의원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스포츠산업과 소관 2019년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보고에 앞서 저희 스포츠산업과 담당 계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계장소개)
지금부터 보고 드리겠습니다.
301쪽입니다.
스포츠산업과 세출예산안 규모는 207억 9,954만 9천 원이며 이 중 정책사업비가 200억 6,183만 9천 원, 행정운영경비가 7억 3,771만 원입니다.
303쪽입니다.
스포츠산업과 2019년 예산은 전년도 본예산 기준 41억 394만 6천 원 증액한 207억 9,954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스포츠산업 육성 분야는 15억 5,835만 7천 원 증액한 106억 3,323만 6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세부 사업으로 시·군청직장운동경기부 육성 지원 일반보상금으로 28억 8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술단원·운동부 등 보상금의 배드민턴팀 운영으로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 훈련비 등으로 도비 2억 5,300만 원, 시비 19억 2,700만 원, 총 21억 8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여자농구팀 운영으로 도비 1억 9,800만 원, 시비 5억 200만 원, 총 7억 원을 인건비, 복리후생비 및 훈련경비로 계상하였습니다.
체육활동 지원으로 일반운영비 6,878만 원으로 사무관리비에 2,098만 원, 304쪽 공공운영비에 180만 원, 행사운영비에 2019년 시민체전 성화봉송 이벤트 등으로 4,600만 원, 여비로 1,606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민간경상사업 보조로 초·중·고 20개 학교 29개팀 지원 학교 스포츠리그 운영비, 스포츠강사비 지원 등 학교 체육 활성화 지원으로 2억 원, 도민체전 동·하계 훈련비 지원으로 6,300만 원, 전국체전·전국소년체전 등 대회 입상 종목별 우수 선수 및 지도자 육성에 3천만 원, 경상북도 협회 및 김천시 전무이사협의회 지원에 5천만 원, 경기연맹 경기력 향상 지원에 4,680만 원 등 총 3억 8,9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05쪽입니다.
체육회 운영 지원 민간단체 법정 운영비 보조사업으로 체육회 사무국장 등 직원 5명과 신규직원 채용으로 인한 인건비 및 일반운영비 등 체육회 운영비로 5,498만 6천 원 증액한 3억 3,005만 8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스포츠클럽 운영 지원으로 육상, 축구 등 7종목 스포츠클럽 활성화 지원에 3,500만 원, 스포츠클럽 사무국장, 지도자 인건비, 일반운영비 등 스포츠클럽 운영비에 5,800만 원, 총 9,3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내년도에 경산에서 개최되는 제57회 도민체전 참가 지원에 4억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전국 도단위 대회 참가 지원으로 전국체전·전국소년체전 등 전국 도단위 대회 참가 선수 격려금 및 일반운영비 지원으로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06쪽입니다.
시·군생활체육지도자 배치사업으로 국민체육센터 외 17개소 10종목에 5명의 생활체육 지도자 배치로 기금 6,702만 원, 시비 6,702만 원, 총 1억 3,404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어르신 전담 생활체육지도자 배치사업으로 지좌동주민센터 외 22개소 10종목에 6명의 생활체육지도자 배치로 기금 8,042만 4천 원, 시비 8,042만 4천 원, 총 1억 6,084만 8천 원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생활체육교실 운영 사업으로 부곡실내게이트볼장 등 15개소 12종목의 생활체육교실 운영 강사료, 용품 구입비 등으로 도비 1,080만 원, 시비 2,520만 원, 총 3,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마을단위 체육시설 운영으로 마을단위 체육시설 설치 및 유지 보수로 2억 5천만 원 계상하였고 리틀야구장 휀스 교체 공사에 5천만 원 계상하였으며 시설부대비로 216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307쪽입니다.
스포츠강좌 이용권 지원사업으로 저소득층 만5세부터 18세미만 유소년들에게 월 8만 원씩 태권도, 검도 등 스포츠시설 강좌 수강료 지원을 위해 기금 8,540만 원, 도비 1,098만 원, 시비 2,562만 원, 총 1억 2,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생활체육지도자 교통비 지원으로 생활체육지도자 11명에게 월 10만 원씩 교통비를 지원하기 위하여 도비 396만 원, 시비 924만 원, 총 1,3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도지사기 생활체육대회 개최 지원으로 우리 시 테니스협회 주관으로 도지사기 테니스 생활체육대회 개최를 위해 2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20여 개 종목 총 5천여 명이 참가하는 제15회 김천시생활체육대회 개최 지원에 1억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국 단위 생활체육대회 참가 지원을 위하여 2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도단위 생활체육대회 참가 지원으로 2019년 경산에서 개최되는 제29회 경북도민생활체육대축전 참가 경비로 1억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08쪽입니다.
도지사기 생활체육대회 참가 지원으로 도단위 생활체육대회에 참가하는 종목에 대한 경비 지원으로 5,5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경북리그 축구대회 참가경비 지원으로 1천만 원, 야구대회 참가경비 지원으로 500만 원, 자매도시인 강북구와 생활체육 교류전 대회 개최 2천만 원,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한 경북어르신생활체육대회 참가 경비에 4천만 원, 경북씨름왕대회 출전경비 지원에 5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시 체육회 산하 종목별 단체 활성화를 위한 종목별 대회 지원에 3,200만 원, 유소년 야구단 활성화를 위하여 전국 및 시·도단위 대회에 참가하는 김천리틀야구단 대회 참가 지원으로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09쪽입니다.
춘계·추계 전국동호인 스쿼시대회 개최 지원으로 2018년 스쿼시장 준공으로 스쿼시장 임대 비용을 감하여 전년도보다 각각 1천만 원씩 감액하여 2,500만 원씩 계상하였으며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하여 가족과 함께 하는 스포츠캠프 운영에 4천만 원, 시민과 함께 하는 골든벨 스포츠퀴즈대회에 2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국제 및 전국 단위 대회 유치 관련 예산입니다.
먼저 대회 개최 유치를 위한 일반운영비로 사무관리비 1억 362만 원, 행사운영비 8,01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10쪽입니다.
국내여비로 2,960만 원, 대회 유치 및 스포츠마케팅 업무 협의를 위한 시책추진 업무추진비 500만 원, 각종 대회 자원봉사자 급식 및 실비 보상으로 608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배구단 TV 생중계 등 간접광고 비용 및 경기 관람을 위한 입장권 배부 등으로 김천시 브랜드 홍보로 1억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내년에 유치 예정인 7개 국제대회와 37개 전국대회 유치를 위한 예산입니다.
세계 각국의 우수한 선수들이 참여하는 ITF 김천국제남여테니스대회는 2007년부터 12년째 우리 시에서 개최하고 있으며 도비 6,600만 원, 시비 1억 5,400만 원, 총 2억 2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ITF 김천국제주니어테니스대회는 주니어 선수들의 국제 무대 등용문으로 세계 각국의 우수한 테니스 유망주들이 참가하며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11쪽입니다.
김천전국동호인테니스대회는 6월경 4일간의 일정으로 천여 명의 전국 동호인들이 참가하는 대회로 2,5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문체부장관기 전국 고교축구대회는 6월경 12일간 일정으로 개최될 예정이며 전국 고교 최강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전을 거친 후 토너먼트로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로 1억 9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김천전국수영대회는 3월경 5일간의 일정으로 개최되는 종합수영대회로서 9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김천전국초등테니스대회는 2월경 6일간 일정으로 전국 초등학생 600여 명이 참가하는 대회로 4천만 원, 전국종별테니스대회는 3월경 초등부와 중·고등부로 구분해서 16일간 일정으로 진행하여 7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국유도대회는 6월경 3일간 일정으로 중·고등부로 개최되며 9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전국종별배드민턴선수권대회는 4월경 8일간의 일정으로 개최되는 대회로 1억 5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전국육상경기대회는 7월경 6일간의 일정으로 초·중·고·대학·일반부 선수들이 참가하는 대회로 1억 7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국농구대회는 4월경 8일간의 일정으로 전국 초등학생들이 참가하는 대회로 8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12쪽입니다.
김천전국궁도대회는 4월중 3일간의 일정으로 6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실업농구연맹전은 6월중 3일간의 일정으로 개최되며 1,5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고등부 64개팀이 참가하는 전국축구리그 왕중왕전은 1억 4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국 로울러경기대회는 7월중 4일간의 일정으로 7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전국펜싱선수권대회는 7월중 6일간의 일정으로 1억 3,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국탁구대회는 8월중 8일간의 일정으로 개최되며 1억 2천만 원 계상하였으며 MBC배 전국수영대회는 유년부터 일반부까지 국내 정상급 선수들이 참가하는 가장 권위있는 대회로 2007년부터 12년째 우리 시에서 개최하고 있으며 1억 1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경북드림밸리 전국동호인 테니스대회 개최에 2천만 원을 계상하였고 전국대학수영대회에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13쪽입니다.
전국유소년배구대회 개최에 4,5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춘계·추계 전국유소년수영대회는 3일간의 일정으로 4월과 9월에 열릴 예정이며 각각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국 국도 승단대회 개최에 3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꿈나무 전국 수영대회는 11월 중에 4일간의 일정으로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육상대회는 8월경 3일간의 일정으로 4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회장배 전국 로울러대회는 4월경 3일간의 일정으로 개최되며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시아주니어테니스대회는 국제대회로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14쪽입니다.
KETF주니어테니스대회는 국제대회로 5,5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한·중·일 육상대회는 7월경 개최되며 7,500만 원 계상하였으며 전국중·고탁구대회는 6월경 5일간 일정으로 개최되며 8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춘계·추계 중·고테니스대회는 2월과 10월에 3일간씩 개최되는 대회로 각각 3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실업육상연맹전은 9월경 3일간의 일정으로 7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전국펜싱대회는 6월경 6일간의 일정으로 1억 3,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국체조대회는 8월경 3일간 개최되며 7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KBS배전국수영대회는 5월경 4일간의 일정으로 8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15쪽입니다.
대통령배 수영대회는 8월경 5일간의 일정으로 1억 원을 계상하였으며 전국 중·고농구대회는 5월경 8일간의 일정으로 1억 2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회장기 전국중·고테니스대회 개최에 6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대회 유치 및 지원으로 각종 대회 개최지원에 7천만 원, 전지훈련 지원 2천만 원,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시민과 함께 하는 서포터즈 활성화 지원에 3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우리 시의 각종 행사 중 시민들의 가장 큰 행사인 시 승격 70주년 시민의 날 기념 김천시민체육대회에 12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읍·면·동 주민과 학생 등 3만여 명이 참여하는 행사인 만큼 새롭고 특색있게 개최하여 모든 시민이 함께 즐기는 체육대회를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세부 내역으로는 읍·면·동 체육회 보조금 4억 6,400만 원, 시민체전 대행사 4억 2,200만 원, 연맹 지원금 및 광고비 8,200만 원, 기타 식대, 시상금 등 2억 3,200만 원입니다.
시민체전 대행사에 2017년 대비 2억 원 가량 증액하였으며 주요 행사로 내년에 시 승격 70주년이 되는 해로 격년제로 치러지는 내년 시민체전 역시 시민 모두의 마음에 좋은 추억으로 남을 수 있는 특별한 행사가 될 수 있도록 2017년 대비 2억 원을 증액한 12억의 예산을 증액하게 된 것입니다.
2017년도 시민체전의 면밀한 분석과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서 2019년 시민체전은 종전의 관례를 과감히 탈피한 전혀 새로운 대회로 거듭나고자 합니다.
먼저 읍·면·동에서 진행하던 기존의 차량을 이용한 입장식을 간소화하여 예산 낭비를 없애고 시 주도하에 실속있는 통합 개회식을 추진하여 모든 시민이 한 자리에 모여 함께 즐길 수 있는 시민체육대회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주요 행사로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 섭외를 노력 중에 있으며 700여 명의 남녀노소 시민들이 플래시몹과 드론을 활용한 개회사 전달, 성화 점화, 현수막, 주무대 위치를 중앙에 배치하는 등 시민들과의 눈높이를 맞춘 많은 이벤트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대행사로 가족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포토존 운영, 스프링보드, 에어바운스, 스포츠부스 등 부대 행사와 체험의 장을 마련해서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여 함께 화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더불어 우수 시·군을 벤치마킹하고 시민들의 아이디어를 공모하는 등 적극적인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한 푼의 예산도 헛되이 사용되지 않도록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시민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시민체육대회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되는대로 의회와 충분한 협의를 통해 진정한 시민을 위한 시민 체육대회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장애인 체육 육성을 위하여 경상북도 장애인체육대회 참가 지원에 사전 경기 참가자 숙박비 및 식비 증가로 인하여 500만 원 증액한 2,5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각종 장애인체육대회에 참가하는 장애인들에게 여비 지급을 위한 실비보상으로 504만 원 계상하였으며 장애인건강걷기대회 개최 지원에 2,5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316쪽입니다.
스포츠시설 관리분야는 24억 6,219만 5천 원 증액한 94억 2,860만 3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스포츠시설 운영으로 일반운영비 20억 3,675만 7천 원으로 사무관리비에 1억 4,311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17쪽입니다.
공공운영비에 스쿼시장 신축 운영에 따른 전기료 및 상하수도료 추가, 실내체육관 냉난방용 2018년 기준 사용량 증가에 따른 도시가스료 추가, 2019년 각종 대회 증가 및 청소요원 인건비 상승, 스포츠타운 회원 등록 시스템 전산화에 따른 카드 수수료 납부 등으로 1억 6,138만 1천 원 증액한 18억 9,364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18쪽입니다.
국내여비에 전년도 예산과 같은 1,542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재료비 1,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19쪽입니다.
연구개발비로 스포츠타운의 홈페이지를 통한 회원가입을 위하여 온라인 회원 등록 사이트 구축에 8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시설비로 노후된 장비 및 다이빙대회 시 수기로 점수를 합산하는 등 불편함이 있어 다이빙 경기용 전광판 설치에 5억 원, 테니스장 스코어보드 설치에 1억 2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여름방학 기간 중 타지역 물놀이장을 찾는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여름철 야외 물놀이장 운영에 5억 원, 겨울철 야외 스케이트장 시설공사에 6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자산취득비로는 헬스장 헬스기구 교체 구입에 900만 원, 실내수영장 수영 스타트 발판 구입에 3천만 원, 지상훈련장 안전매트 구입에 5천만 원, 테니스 공인용 무전기 교체에 800만 원, 온라인 회원 등록 장비 구입에 1억 2천만 원, 실내수영장 수상 안전 장비 구입에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스포츠시설 유지 보수로 일반운영비 8억 8,656만 1천 원으로 사무관리비에 8,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20쪽입니다.
스포츠시설 유지 보수 공공운영비 유지 보수 및 공공요금 상승 및 인공 암벽장 및 스쿼시장 준공 완료 등에 따라 1억 6,539만 9천 원 증액한 공공운영비 7억 9,956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24쪽입니다.
국내여비는 전년도와 같은 예산인 2,416만 원을 계상하였고 각종 유지 보수 자재료 인상 및 관리 체육시설 증가로 재료비에 3,388만 원 증액한 1억 5,55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25쪽입니다.
다음은 시설비로 종합운동장 및 보조경기장 잔디 관리 6천만 원, 스포츠타운 내 시설물 및 조경수목 관리 6천만 원, 스포츠타운 내 시설물 유지 보수공사 1억, 스포츠타운 에너지 절약형 LED 조명 교체 8천만 원, 체육시설물 안전 점검 수수료 1천만 원, 경관조명 교체에 1억 원, 스포츠타운 내 로고라이트 설치 2억 원, 수영장 냉동기 교체에 6억 원, 냉난방기 교체에 2억 원, 수영장 보일러 교체 1억 5천만 원, 체육관 제트공조기 설치 1억 5천만 원, 열교환기 교체 3억 원, 보조경기장 우레탄 트랙 교체 8억 5천만 원, 석면 건축물 천장 교체 7억 5천만 원, 김천스쿼시장 다용도실 증축에 1억 5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시설부대비로 872만 5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26쪽입니다.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노후된 전동차 교체를 위하여 잔디 관리용 전동차 구입에 2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김천시테니스장 시설물 보수에 균특 1억 5천만 원, 도비 1억 500만 원, 시비 2억 4,500만 원 총 5억 원을 계상하였으며 스포츠시설 설치로 경북보건대학교 대운동장 환경개선에 2억 원, 제2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 기본계획 및 타당성 용역에 5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시설부대비로 14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26쪽에서 328쪽까지는 행정운영경비로 스포츠산업과 직원 초과근무수당과 공무직 근로자 금년 대비 10% 인상된 임금을 반영한 보수, 4대 보험료 등 인력운영비 및 기본경비적 예산으로 8,339만 4천 원 증액한 7억 3,771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자세한 세부 내역은 예산서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존경하는 이진화 자치행정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 여러분!
우리 시의 관광 자원은 매우 열악한 상태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2006년 전국체전 이후 스포츠를 하나의 산업으로 인식하고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대회 유치에 나서면서 현재 대한민국의 스포츠 중심 도시로 우뚝 서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김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저를 비롯한 직원 전체가 심혈을 기울여 이번 예산을 편성 제출한 바 이 예산이 원안대로 처리되기를 간곡히 부탁드리면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질의 답변에 들어가겠습니다.
스포츠산업과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하실 위원님 계시면 질의해 주십시오.
김병철 위원님!
체육회 운영비 증액이 됐네요, 5,500만 원?
사무국장 송치돼 있고 다른 건은 없습니다.
불구속 상태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사무국 인사관리 규정에 보면 경기지원팀하고 엘리트하고 생활하고 두 개 부장이 되게 되어있는데 그렇게 안 하고 계속 국장 밑에 부장 한 명, 직원, 하다보니까 이런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했기 때문에 앞으로는 제가 체제를 일반 엘리트부하고 생활지원부로 두 부를 만들어서 보조금 관계를 명확하게 집행하기 위해서 부를 두 개로 나누려고 하기 때문에 인건비로 부장 한 명하고 직원 한 명 채용하는데 5,100만 원 정도 증액이 됐습니다.
솔직하게 얘기하세요.
엉망이죠?
국장이 전부 다 관리 다 하니까.
규정도 개편하고 해서,
잘 해주면 잘 해주는대로 배가 더 불러요.
경북보건대학교 운동장 환경개선, 이게 뭡니까?
이 예산은 학교에 지원해 주는 게 아니고 우리가 지금 축구장이 시내에 여섯 개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겨우 왕중왕전하고 축구대회를 두 개 유치하고 있는데 우리 축구장 자체가 모자라기 때문에 학교로 지원해 주는 것으로 보시면 안 되고 우리 시를 위해서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하물며 화장실까지 지원해 줬잖아요?
다 해줘요.
예, 지금 보니까 시간도 12시 다 되고, 12시에 또 약속도 있고 이런데 다 묻지도 못하겠고 좀 부정적인 게 많네요, 보니까.
솔직하게 얘기해서 좀 부정적인 예산이 많은 것 같아요.
저도 예산계장 출신으로서 예산을 엄격히 따져서 짰기 때문에 특별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수고했습니다.
다음 질문은 식사 후에 2시부터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동료 위원 여러분, 중식 시간이 되었습니다.
중식을 위하여 2시까지 정회를 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이 있음)
그럼 2시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11시55분 회의중지)
(14시01분 계속개의)
질의 답변에 들어가겠습니다.
질의하실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영록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식사 맛있게 하셨습니까?
그것은 분기에 1회 정도 할 예정이고 한 분기에 25명에서 100명 정도 해서 여러 가지 간단한 체육도 하고 다른 놀이도 하고 같이 곁들여서 할 계획입니다.
그것을 우리가 내년도에 시민을 상대로 해서 스포츠 관련해서 퀴즈대회를 개최하겠다, 그런 내용입니다.
312페이지 보시면 전국탁구대회 있는데 1억 2천이네요?
우리 실내체육관에 있는 것하고 국민체육센터에 있는 것하고 그것을 활용합니다.
일반 동호인들,
대여는 안 하고 있습니다.
상금 있죠?
상품권으로 주죠?
보통 연맹에 500만 원 나가는 데도 있고 동호인들이 많은 데는 천만 원, 2천만 원 이렇게,
제가 알기로는 재래시장상품권이나 그런 것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26페이지 보시면 스포츠시설 설치 제2스포츠타운 조성사업 기본계획 수립에 5천만 원 용역비 되어있는데 지금 계획은 어떤 식으로 계획이 부지라든가 이런 것은 후보지라든가 이런 것은 지금 있습니까?
어떤 씩으로 우리가 시에서 현재는 실내테니스장이나 각종 스포츠타운에 여러 가지 않지 않습니까?
그 중에서 딱히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예를 들면 실내체육관을 새로 하나 둘 것인가, 아니면 축구장이나 야구장이나 할 것인가 용역을 통해서 꼭 우리 시에 필요한 것을 정해서 부지 선정도 그 주변에 할 것인가, 그렇게 할 계획입니다.
그래서 본 위원은 민간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제2스포츠타운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한 사람입니다.
물론 제2스포츠타운을 하면 직접수지에서는 손해를 볼 수 있지만 하지만 스포츠타운을 지어서 많은 대회, 특히 어린아이들이 출전할 수 있는 대회를 많이 유치함으로써 민간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지금 현재 연간 스포츠대회를 개최를 해서 민간경제 부분은 얼마 정도라고 수치가 나옵니까?
떨어지고 하면 사실상 조금 힘든 부분이 있거든요, 매력도 많이 떨어지고.
그런 부분은 많이 생각하셔서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백성철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과장님, 장시간동안 설명하고 답하시느라 수고가 많습니다.
스포츠과는 예산이 굉장히 많이 늘었네요, 올해?
그래서 올해는 207억 9,900인데 약 10% 정도 증이 됐습니다.
최종 예산 대비 10%고 당초예산 대비는 19.8% 증됐습니다.
지금 계속 물이 새는 누수 현상이라든지 보일러 교체, 우리 스포츠타운에 있는 각종 시설물 자체가 전부 고가입니다.
고가라서 앞으로도 저도 걱정이 많이 되는 부분입니다.
예산은 한정돼 있는데 우리 스포츠타운 시설 자체는 노후화돼있고 그렇다고 이것을 놔둘 수 없는 문제 아닙니까?
현재 스포츠 중심 도시로서 발돋움하고 있는데 그래서 걱정이 됩니다만 이 시설을 계속 고쳐야 되기 때문에 연간 그 정도는 들지 않을까 예상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누구한테 물어봐도 대한민국에 스포츠는 김천이다, 라고 많은 국민들이,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야 알고 있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은 모르고 있기 때문에 전국민이 알게 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예산을 들이고 홍보도 많이 해야 되는데 현재도 이렇게 상태가 되어가고 있는데 이게 정말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제가 볼 때는 예산이 많이 투입되거든요.
아까 존경하는 김병철 의장님도 말씀하셨습니다만 305쪽에 민간이전 제일 위에 여기도 보면 2억 7,500만 원 있다가 5,400만 원이 더 늘었단 말이에요.
이게 우리 체육회 사무국 운영 규정에 보면 원래 기구 및 조직에 부가 두 개 부가 되어있습니다, 총무팀하고 기획경영팀하고.
지도자부에 일반지도자하고 전문체육팀, 생활체육팀, 이렇게 분리가 규정에는 되어있는데 2016년도에 통합하면서 엘리트하고 생활체육하고 통합을 했습니다.
통합하면서 그 과정이 굉장히 시끄러웠었거든요.
그때 이 조직을 정비해서 했어야 되는데 제가 스포츠산업과장으로 와서 보니까 체육회에 각종 규정이 많습니다.
정비가 거의 안 된 상태가 많습니다.
그래서 내년도에는 이런 불미스러운 일도 없애고 보조금 집행 자체를 투명하게 하기 위해서 내년에 부득이 사무국장 밑에 부장 한 명 있는 것을,
체육지도자는 6명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내년도에, 지금 생활체육지도자들이 전담하는 분들이 6명 밖에 안 됩니다.
22개소에 10종목을 지도하다보니까 상당히 일 자체가 많거든요.
그래서 내년에는 율곡동에도 배치할 수 있는가 다시,
이게 이렇습니다.
올해는 40여 개를 했는데 우리가 체육대회 유치하려고 보면 우리가 협상하러 각 연맹에 가야 되거든요.
그렇게 되면 삭제되는 부분도 있고 신규 되는 부분도 있고 바뀝니다.
올해 같은 경우에는 40여 개 대회 중에서 내년도에 삭제되는 부분이 ATP국제첼린지테니스대회하고 세계테니스대회 등 13개가 삭제되고 내년도에는 신규로 춘계 중·고연맹 테니스대회 외 17개가 늘어나서 현재 내년도에 우리가 섭외해 놓은 데는 44개 지금 되어있거든요.
예를 들어서 우리 시 같은 경우에도 다른 시·군에 가서 기존 하던 것을 소위 말하면 거기에서,
왜 그런가 하면 우리가 연맹하고 1억에 협약을 구두로 했잖아요?
다른 시·군에 와서 1억 5천 준다 하면 거기로 가버리는 거예요.
그래서 그런 부분이 많기 때문에 대회가 왔다 갔다하는 게 있습니다.
우리가 전국대회를 하는 중에서도 보면 굵직한 대회가 많습니다.
ITF 테니스대회라든지 MBC배 전국수영대회,
대회를 통해서 외지에서 사람들이 많이 와서 김천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대회 유치를 하는 거잖아요?
325쪽에 보면 이것도 굉장히 시설비 및 부대비가 100% 이상 늘었어요.
17억 썼는데 34억 9천만 원을 올해 예산으로 써놨기 때문에,
전년도 예산이 17억이었는데 올해 34억 9,800만 원을 세웠잖아요?
조명 교체에 8천, 경관 조명 교체에 1억, 로고 라이트 신규사업으로 2억, 그 다음에 냉동기 교체 등 해서 내년도 신규사업이 들어가 있습니다.
전광판 5억, 이런 식으로 해서 상당히 늘어서 그렇습니다.
다음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십니까?
진기상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우리가 지금 현재 스포츠타운을 운영하는데 연간 운영비가 한 50억 정도 들어가죠?
지금 우리가 내년도에도 44개 대회를 가계약 상태로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을 하다보면 현재 우리가 일정을 잡아보니까 대회가 중복되는 대회가 많아서 유치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현재 실내체육관이나 종합스포츠타운만으로는 앞으로 전국대회나 국내 큰 대회를 유치하기가 상당히 힘이 들기 때문에 그것을 일단은 시설을 확충해서 큰 대회를 유치하므로 해서 좀 더, 지금도 경제 활성화가 많이 되고 있지 않습니까?
좀 더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하려고 합니다.
한 200억 들어가잖아요, 200억.
들어가는데 우리 경상북도 내에서는 김천 만큼 스포츠타운이 잘 되는 데가 없습니다.
그런데 제2스포츠타운을 하는데 국제대회나 전국대회를 유치하는데 일정이 중복되고 기한이 잡혀있기 때문에 다시 스포츠타운을 조성한다는 것, 이것을 잘 검토를 해봐야 됩니다.
이런 대회를 유치하려면, 유치하는 것은 좋은데 그렇다면 경상북도 23개 시·군에 기존에 종합운동장이 있는데 다시 종합운동장을 한 데가 있습니까?
없잖아요?
그래서 심도있게 해보시고 용역할 때도 모든 자료라든지 이런 것을 줘서 정말로 정확한 용역이 되도록 노력하셔야 됩니다.
유치하는데 25억, 지금 현재 우리 시내 가로수 관리하는데 한 50억, 산불방지하는데 한 50억 들어갑니다.
약 200억입니다.
항간에는 시민들이 스포츠타운 해서 문제 아니냐, 이런 말도 있어요.
그런데 그런 말을 들을 게 아니고 용역 할 때 정말로 충분한 자료를 줘서 경상북도 23개 시·군에는 기존의 스포츠타운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다시 스포츠타운을 하나 더 하겠다, 세심한 자료를 해서 용역 좋은 용역이 나오도록 준비에 철저를 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 다른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죄송합니다.
한 가지 빠진 게 있습니다.
백성철입니다.
물놀이장하고, 319쪽에 여름철 야외물놀이장 5억하고 겨울철 야외 스케이트장, 이것은 만약에 하게 되면 매년 이 돈이 투입이 돼야 되죠?
내년에 처음에 여름 야외 물놀이장하고 겨울 스케이트장을 운영하게 되는데 운영 기간은 야외 물놀이장 같은 경우는 7월 20일부터 8월 20일 정도, 그리고 더위에 따라서 보름 정도 더 넣을 수 있고 장소는 직지문화공원, 스포츠타운하고 안산공원에 할 예정이고 이것을 우리가 하기 전에 일단 시민 여론도 많이 들어서 칠곡을 가봤습니다.
칠곡하고 성남하고 가봤는데 그 땡볕에 사람 정말 많이 오거든요.
그래서 우리 시의 사람들도 대부분 작년까지만 해도 구미 해평에 갔는데 구미 해평에서 못하는 이유가 의회에서 예산이 삭감됐습니다.
구미는 못 했고 전부 칠곡으로 몰렸었거든요.
그래서 우리 시에서 시민들이 더운 날씨에 멀리 가는 것 보다는 우리 시에서 하면 안 좋겠느냐 해서 제가 내년도 신규사업으로 구상하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무료가 아니고 이것은 우리가 선거법에 저촉되고 이런 게 있기 때문에 칠곡 같은 경우도 어린아이 4천 원, 성인 5천 원, 이런 식으로 받거든요.
이게 무료가 아니고 유료로 할 계획입니다.
우리도 세 군데 다른 데 전부 자료를 다시 받아서 최소한 비용으로 2천 원 정도만 받아도 우리 들어간 돈이 더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우리 시민들도 삶의 질 향상에도 좋고 아주 효율적이지 않나 생각해서 계획하게 된 것입니다.
그때도 세 군데 다 얘기했습니다.
이상입니다.
물놀이장 유료로 한다고요?
아파트단지에 혁신도시에 보니까 작년에 다,
들리고, 하려면 시민들한테 환원하고, 돈 많으니까, 김천에.
한 7억씩 돈도 아니잖아요, 한 1조 되는데, 돈 많다고 매일 그러는데?
시민들한테 환원하도록 해주지 뭐 하러 그래요?
그런데 내년에 정확한 문서로 질의받아서,
그래서 이것을 정확히 해서 만약에 이게 없으면 무료로 할 수도 있고 그게 되면 단돈 천 원이나 2천 원 정도 받으면 그것 없지 싶습니다.
1년에 한 40억 정도, 작년보다 40억 더 들어갔다 했잖아요?
대회는 85개 정도 됩니다.
육상대회, 작년에 없던 것,
우리 자체수입이 최고 거둬도 1년에 1,600억 밖에 안 되는데, 하기야 돈이 많으니까 나중에 가서 누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과장님 말씀대로 한다 그러면 지금 노후장비 교체도 해야 되고 돈 들어갈 게 그렇게 많은데 너무 대회도 너무 많아요.
대회 해서 김천에 고용창출 되는 게 뭐 있습니까?
여관하고 식당 밖에 안 되잖아요?
그것은 되는 것은 좋아요.
당연히 볼거리나 먹거리도 되는데 너무 지나치게 해서는 안 된다, 그 얘기지.
필요 없는 것은 좀 줄여가면서 스포츠타운이나 문화관광과나 이런 데는 워낙 예산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담당 부서장의 역할이 중요하거든요.
의회에 들어와서 이것 가지고 우리가 삭감하고 삭감 안 하고 이게 중요한 것 보다도 부서장이 머리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예산이 편성되는 것인데 그래서 이것을 내 살림이라고 생각하시고 어쨌든 꼭 필요한 것만 우리가 대회 유치도 하고, 지금 너무 많아요, 신규사업이.
제가 이것 손 댄다 하면 거의 다 안 해야 될 사업입니다.
안 해도 김천 다 돌아갔고 한데 어쨌든 예산을 좀 줄이는 방법에서 해달라는 부탁을 드리고 우리가 시에서 공무원들이 직접 하는 사업이 거의 없잖아요?
다 민간경상사업 보조사업인데 전부 다 그렇거든요.
우리가 예를 들어서입니다.
아시아주니어테니스대회 하면 5천만 원을 돈을 주면 그쪽에다 돈 5천만 원 그냥 주잖아요?
그 돈을 이번에 바뀌어서 우리 시에서 다 소진하게 되어있습니다.
그 얘기지 뭐.
그것을 시민들한테 돌아가는 것은 아니잖아요?
아까 얘기한대로 여관하고 밥 먹는 것 밖에 없는데.
하여튼 과장님, 살림살이를 야무지게 살아달라는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시죠?
(「없습니다.」하는 이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2019년도 스포츠산업과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 종결을 선포합니다.
좀 쉬었다 할까요?
(「예.」하는 이 있음)
동료 위원 여러분, 회의가 시작된지 장시간이 지났습니다.
휴식을 위하여 잠시 정회를 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이 있음)
2시 50분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14시36분 회의중지)
(14시50분 계속개의)
다음은 세정과 예산안에 대하여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세정과장님 나오셔서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세정과장 김영박입니다.
존경하는 이진화 자치행정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시민의 복리증진을 위하여 연일 활발한 의정활동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설명에 앞서 저희 과 담당 계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계장소개)
지금부터 2019년도 세정과 세출예산안에 대해서 제안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29쪽입니다.
세정과는 2019년도 총예산액이 12억 9,089만 1천 원으로서 전년 대비 2.2% 증가하였으며 정책사업비가 81.82%인 10억 5,620만 원이고 행정운영경비가 18.18%로 2억 3,468만 원이 되겠습니다.
331쪽입니다.
단위사업으로 도세 자진신고 및 전산 운영에 1억 7,243만 4천 원을 계상했는데 그 중에서 도세 징수를 위한 일반수용비 및 공공운영비 등 일반운영비가 6,55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32쪽입니다.
취득세 세원 발굴과 세무공무원 순회교육을 위한 국내여비에 2,686만 원을 계상하였고 기타보상금으로 성실 납세자 보상금은 전년 대비해서 500만 원을 증액하여 천만 원을 계상했는데 이것은 최근 3년동안 3건 이상 납기 내에 전액 납부로 체납이 없는 성실 납세자에 대한 보상으로 지방세 전산 시스템을 통해서 무작위로 200명을 추첨을 해서 1인당 5만 원 상당의 상품권을 지급하는 예산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지난 12월 4일에 위원님들께서 동의한 지방세연구원 출연금 1,255만 8천 원을 계상했는데 이것은 지방세기본법 시행령 제94조의 규정에 의거 2017년 보통세 세입 결산액의 1만분의 1.5에 대한 금액을 납부하도록 규정돼 있습니다.
다음은 지방세정보화사업 시스템 위탁 사업비에 5,349만 6천 원으로 전국적으로 사용하고 시스템으로서 위택스 및 지방세 정보 시스템에 대한 유지 보수 등 시스템 운영 관리에 필요한 예산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시세 과세 자료 정비 및 부과 고지 단위사업에 1억 4,678만 5천 원을 계상했는데 그 중에 지방세고지서 전산용지 구입에 따른 사무관리비와 공공운영비 등 일반운영비에 1억 3,784만 5천 원을 계상하였고 333쪽 시세 관련 교육 및 연찬 과세자료 조사 등에 필요한 국내여비 89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세외수입 총괄 관리 단위사업에 1억 3,706만 7천 원을 계상했는데 세외수입 고지서 전산용지 구입에 따른 일반수용비와 공공운영비 등 일반운영비에 4,161만 원을 계상했고 334쪽 세외수입 관련 회의 및 교육 등 국내여비에 1,140만 원, 그리고 전산개발비로 세외수입 수납에 따른 세입통합 조회 납부 시스템 유지 보수비에 1,38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세외수입 부과 징수에 따른 세외수입 전산시스템 유지 관리를 위한 위탁사업비 2,794만 4천 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335쪽입니다.
차세대 지방세외수입 시스템 구축을 위한 위탁사업비에 3,031만 3천 원을 계상하였고 수입증지요금 관리기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에 1,20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으로 지방세외수입 체납관리 단위사업에 8,863만 7천 원을 계상했는데 세외수입 체납 안내문 제작 및 체납관리를 위한 일반수용비와 우편발송을 위한 공공운영비 등 일반운영비 4,067만 7천 원을 계상했으며 세외수입 체납 번호판 영치 및 납부 독려와 국내 여비 1,29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336쪽입니다.
표준지방세와 지방세 세외수입 시스템 등 전자예금 압류 시스템 사용 및 암호화사업 전산개발비로 3,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 시스템은 금융결제원의 예금 압류 중개 시스템과 지방자치단체의 표준지방세 및 지방세외수입 정보 시스템의 전산 연계를 통해서 체납자에 대한 예금 압류 시스템으로서 금융거래 계좌 압류 등 실시간 채권을 확보해서 체납세 징수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체납세 징수 단위사업에 1억 3,574만 원을 계상했는데 지방세 독촉 고지서 구입 사무관리비와 우편 발송 공공운영비 등 일반운영비에 8,598만 원을 계상하였고 337쪽 체납자 징수 독려를 위한 국내여비에 876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전산개발비로 체납자가 체납세를 계좌로 분납할 때 자동으로 수납하는 분할납부 시스템 구축에 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체납차량 단속을 위한 지능형 CCTV 구축사업에 2,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지방세입 징수 포상금에 1천만 원을 계상했는데 이것은 과년도 체납액 징수활동에 열심히 노력한 공무원에게 지급하는 포상금이 되겠습니다.
다음 338쪽입니다.
주택가격 특성 조사 및 산정 공시 국비보조사업에 1억 3,204만 9천 원을 계상했는데 개별주택가격 조사 업무 보조 인부임으로 인건비 2,751만 7천 원을 계상하였고 개별주택가격 검증 수수료 지급 등에 따른 일반 수수료 수용비 및 일반운영비에 9,853만 2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개별주택가격 조사 등 국내여비에 60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339쪽입니다.
주택가격 특성 조사 및 산정·공시 사업에 1억 5,039만 7천 원을 계상했는데 개별주택가격 조사 업무 보조 인부임으로 2,751만 7천 원을 계상하였고 개별주택가격 검증 수수료 지급 등에 따른 사무관리비와 개별주택가격 열람 안내문 발송을 위한 공공운영비 등 일반운영비에 1억 1,856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340쪽입니다.
다음은 지방소득세 부과 단위사업에 6,018만 5천 원을 계상했는데 지방소득세 납부 안내 홍보물 제작에 따른 사무관리비와 공공운영비 등 일반운영비에 4,878만 5천 원을 계상하였고 지방소득세 과세자료 조사 등 국내여비에 1,14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341쪽입니다.
탈루 은닉세원 조사 단위사업에 2,125만 원을 계상했는데 법인 세무조사 서식 유인 등 사무관리비와 공공운영비 등 일반운영비에 1,197만 원을 계상하였고 행정 소송 수행에 따른 국내여비 928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그리고 세정과 행정운영경비에 2억 3,468만 4천 원을 계상했는데 대부분 인력운영비와 기본경비로서 초과근무수당 등 인건비에 2억 1,836만 4천 원을 계상하였고 342쪽 행정사무기기 소모품 구입 등 일반운영비에 1,026만 원, 부서운영 업무추진비에 486만 원, 직책급업무추진비에 12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이상으로 2019년도 세정과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질의 답변에 들어가겠습니다.
세정과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하실 위원님 계시면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영록 위원님!
박영록 위원입니다.
세정과에 도비사업이 있네요?
도 보조금사업이 있네요?
이것은 우수 공무원들 경상북도 내에서 한 명씩 차출해서 해외 견학하는 내용이 되겠습니다.
1억 7,200만 원 사업에.
가는데 보조를 받지 말고 하시라고, 도비사업 하나 달랑 있는 것 얼마 받는가 싶어서 보니까 80만 원 받아요.
대김천의 세정과에서 이것은 보기가 좀 그렇습니다.
더 이상, 예, 진기상 위원님!
마지막으로 과장님 인사 한번 하시죠.
저도 79년도에 공무원을 시작을 해서 본청에 주요 부서에 두루두루 다 거치고 세정과를 끝으로 해서 공직을 떠나는 것 같습니다.
사실상 방금 진기상 위원님께서 말씀하셨듯이 국장까지 하고 나갔으면 정말 좋았을 것인데 저는 제 복이라 생각하고 또 앞으로 지금까지 인생은 이렇게 보냈지만 앞으로 제2의 인생을 좀 더 뜻있게 보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동안 저도 의회 전문위원도 하고 했습니다만 그동안 의원님들께서 많이 도와주시고 해서 무사히 공직생활을 마감하는 것 아니냐, 그런 생각도 듭니다.
앞으로도 의원님들께서 우리 김천시 발전을 위해서 더욱 더 노력 좀 많이 해주시고 또 집행부도 많이 질타를 해주셔야 김천시가 더욱 더 발전하지 않겠나 생각합니다.
앞으로 저도 계기가 되면 지역사회에서 같이 동참을 해서 김천시 발전을 위해서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과장님,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2019년도 세정과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 종결을 선포합니다.
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장내소란)
(회의준비)
다음은 회계과 예산안에 대하여 심사하겠습니다.
회계과장님 나오셔서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계과장 박운용입니다.
먼저 설명에 앞서 우리 각 계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계장소개)
평소 존경하는 이진화 자치행정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님 여러분, 올 한 해 동안 우리 회계과 업무에 관심을 가지시고 협조와 지원을 해주신데 대하여 감사드립니다.
지금부터 2019년도 회계과 소관 세입·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세입예산은 위원님들께서 양해해 주시면 서면으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세출예산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43쪽 되겠습니다.
회계과 전체 예산은 63억 6,172만 5천 원으로 시 전체 예산의 약 0.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345쪽입니다.
회계과 2019년도 전체 예산은 63억 6,172만 5천 원으로 전년 대비 62억 5,597만 7천 원이 감되었습니다.
세부 사업별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가급적 경상적 경비는 생략하고 사업비 중심으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45쪽은 일반 사무관리비로 서면으로 대신하고자 합니다.
346쪽도 일반운영비와 국내여비로 서면 대신하겠습니다.
347쪽 하단부 재료비는 물품관리용 전자태그 소모품 구입에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48쪽입니다.
자산취득비로 청사 내 비품 책상이나 의자 구입에 1억 5천만 원, 공용차량 구입에 2억 3천만 원 해서 자산취득비로 3억 8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이 공용 차량은 첫째 대형 차량은 시장님께서 타고 계시는 차량이 전임 시장님 탄 차량을 물려받아서 지금 현재 구형 모델이 되다보니까 부품 조달이 힘들고 상당히 노후됐습니다.
그래서 고장이 잦고 해서 교체를 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읍·면·동에 소형 화물차량 20만킬로 이상 된 차량이 읍·면·동에 여섯 군데 되는데 이것은 내년에 교체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우리 회계과 내에 청사 설비관리팀에서 운영하는 공용 차량이 2003년도에 구입해서 현재 31만 킬로를 주행했습니다.
그래서 노후돼서 교체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349쪽 되겠습니다.
중간 부분에 시유재산 관리 단위사업에 공공운영비로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시행령에서 정한 한국지방재정공제회에 납부하는 공제회비를 2억 6천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시설비로 일반재산 시유 건물 수선비 천만 원, 시유재산 취득에 5천만 원 해서 6천만 원 계상했습니다.
350쪽입니다.
350쪽도 공공요금 및 장비유지관리비로 서면으로 대신하겠습니다.
351쪽입니다.
행사운영비에 대덕면사무소 청사 준공식으로 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올 하반기부터 공사는 하고 있고 내년 하반기에 준공 계획으로 있습니다.
재료비에 청사 유지 관리에 따른 재료비에 6,75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시설비 전체 40억 1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중요 부분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시청사 식당동 옥상 부분에 사무실 증축을 위해서 17억 5천만 원 계상했고 청사 앞쪽 뒤쪽 바닥재 타일이 상당히 노후되고 요철도 심해서 정비하기 위해서 3억 계상했습니다.
읍·면·동 부속건물 창고나 중대본부 등 석면 개체공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공사비로 2억 계상했습니다.
그 다음에 시청사 본청 청사에 앞뒤 창호가 설치돼 있는데 환기가 상당히 불량하고 냉난방 효과도 떨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일단 우선적으로 내년도에는 전면부만 10억 정도의 예산으로 교체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352쪽입니다.
시청사 정비공사 기본계획 용역입니다.
이것은 우리 시청사에 현재 급한 부분에 수리할 부분이 무엇인지 전문 기관에 검토 용역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수리를 해나갈 계획으로 준비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구당직실 환경정비는 우리 직원들이 옛날에 사용하던 구당직실이 현재 활용도가 기능이 쇠퇴해서 새롭게 정비해서 민원상담실이라든지 소회의실로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1억 원 계상했습니다.
시청사 동력반 MCCB 교체, 이것은 시청사 본청 지하 보일러실에 배전반 기계가 95년도 청사 통합되면서 설치한 부분이 돼서 노후돼서 교체할 계획입니다.
1억 정도 계상하였습니다.
353쪽 설명드리겠습니다.
공용차량 현재 저희들이 보유하고 있는 차가 156대 보유하고 있는데 이것을 내년도 상·하반기 나눠서 합동점검을 위해서 5천만 원을 계상했고 통합보험 가입에 1억 5천만 원 계상을 하였습니다.
353쪽 하단부터 354쪽까지는 사무관리비 및 공공운영비로 서면으로 대신하고자 합니다.
355쪽 하단부 재료비는 청사설비를 위한 각종 자재구입 등 재료비에 2,138만 원 계상했습니다.
356쪽은 회계과 기본경비로 서면으로 대신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회계과 소관 2019년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질의 답변에 들어가겠습니다.
회계과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하실 위원님 계시면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우청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한 가지만 물어봅시다.
공용차량은 연도가 몇 년이에요?
그게 규정이 있는데, 뭐.
살 수도 없잖아?
김천에 지점 있는 데가 되냐고?
백성철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현재 1호차가 8년 됐어요?
3선 했으니까 12년이 지났는데, 재선 때 샀어요, 그 차를?
그런 것을 할 때 어쨌든 리모델링이 외형상으로 볼 때는 밸런스가 잘 안 맞는 것 같아요, 보니까.
그런 것을 설계 단계부터 할 때 만약에 다른 청사들은 할 때 좀 면밀히 검토하시고 해서 잘 했으면 좋겠고 거기에도 보면 적벽돌로 했는데 할 때 딱 다 했으면 되는데 문틀 부분은 그냥 놔두고 했던가 시멘트로 했던가 그런 부분으로 빗물이 타고 들어오고 해서 페일트 칠한 것이 일어나고 이렇더라고요.
과장님!
청사 관계 금방 백성철 부의장님이 얘기했는데 제가 그것 작년에 공사할 때 12월달에 무리한 공사를 해서 내가 오상욱 계장한테 전화를 해서 왔잖아?
그런데 겨울에는 12월 20일 되면 동절기 공사 중지 명령이 내리잖아요?
시멘트 만지는 것은 공사하면 안 되거든요.
우리도 옛날에 공사를 해봤지만 시멘트는 날 춥고 하면 보온덮개로 덮고 해야 되는데 그렇게 덮는 사람이 없어요.
다 일어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특히 토목은 땅에 묻고 나서 위에 덮으면 끝나는데 건축은 드러나기 때문에 정말로 세밀하게 해야 됩니다.
그래서 앞으로 이 공사뿐만 아니고 건축하는 공사는 겨울에 11월달 되면 왠만한 것은 중지 명령 내려서 동절기 2월 20일날 풀리거든 공기 연장해 주더라도 그렇게 하는 게 맞습니다.
절대 지금 무리하게 청사 같은 것 공기 맞추려고 전에도 보니까 남면 공사도 그렇게 하는데 결국은 일이 터지잖아요?
나는 들은 적이 없는데 내가 분명히 그때 그랬거든.
이 공사 틀 다 돌아간다, 나중에 돌아가고난 후에 어차피 건축 하자 2년이잖아?
계장님, 하자보수 시켜야 돼요.
내가 분명히 그때도 말씀드렸다고, 하면 안 된다고.
하자보수 분명히 시키라고.
그렇게 되면 업체도 골치 아프다니까.
문틀 돌아가면 빼서 해야 되지 그게 우리가 시에서 공무원들이 업체 도와주는 것입니다, 서로 간에.
시에서 하지 마라 하면 안 하거든.
그런데 계속 말 안 듣더라고, 내가 해도.
내가 옛날에 그런 것을 해봤기 때문에 더 못하겠더라, 그 얘기입니다.
그래서 앞으로,
박영록 위원님!
박영록 위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여기 보니까 세입·세출 결산검사 위탁교육 해서 다섯 명 교육하셨네요?
경주가 조례를 개정해서 한 15만 원으로 인상하고 있고 나머지 시·군은 10만 원 다 동일한 상태입니다.
그런 데는 전문 세무사나 또 공인회계사, 이런 분들이 와서 실질적으로 합니다.
전문성이 있어서 정확하게 집어내더라고.
그래서 우리가 의원들이 결산하는데 다 봐야 되지만 그럴 시간이 안 되고 첨부 서류 보는데도 시간이 많이 걸리니까 사실은 결산이 제일 중요한 것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제가 지난번에 결산할 때도 제가 강력하게 얘기한 부분도 그런 부분 때문에 한 겁니다.
감안하셔서 올 결산할 때는 15일을 20일로 늘린 것은 잘 하셨어요.
최대 25일까지 할 수 있죠?
또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이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2019년도 회계과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 종결을 선포합니다.
과장님, 수고 하셨습니다.
(「쉬었다 합시다.」하는 이 있음)
(장내소란)
동료 위원 여러분, 회의가 시작된지 장시간 지났습니다.
휴식을 위하여 잠시 정회하고자 하는데 이의 없습니까?
(「예.」하는 이 있음)
3시 40분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15시25분 회의중지)
(15시41분 계속개의)
행정정보과 예산안에 대하여 심사하도록 하겠습니다.
행정정보과장님 나오셔서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행정정보과장 조영애입니다.
예산안 설명에 앞서 행정정보과 업무 담당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계장소개)
존경하는 이진화 자치행정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님 여러분, 평소 의정활동에 바쁘신데도 불구하고 늘 행정정보과 소관 업무에 대하여 각별하신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데 대하여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금부터 행정정보과 소관 2019도 세입·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세입예산안은 양해해 주신다면 예산서로 갈음하고 세출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서 357쪽입니다.
행정정보과 세출예산은 126억 427만 원으로 정책사업비 124억 3,685만 8천 원, 행정운영경비 1억 6,741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세부 사업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359쪽입니다.
시민들의 정보화 교육을 위한 정보생활화 교육사업으로 6,402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 교육교재 강사료 등 일반운영비 1,210만 원, 지역정보화강사 실비보상 192만 원, 시민정보화교육 위탁교육비 5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정보화행사 사업은 도단위, 중앙단위 등 각종 정보화 경진대회 행사 참여를 위해 1,21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0쪽입니다.
정보화마을 활성화사업은 금년 대비 2,999만 9천 원 감액된 1,3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 양각자두정보화마을, 황악산반곡포도정보화마을에 대한 홍보물 제작비 200만 원, 홈페이지 유지 보수 796만 원, 정보화마을 지도자대회 실비보상금 324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정보화마을 활성화 사업은 도비보조사업으로 정보화마을 프로그램 관리자 두 명에 대한 인건비 3,702만 3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1쪽입니다.
도비보조사업인 지역정보화 강사 배치사업은 노인지회, 읍·면·동 등에 배치된 지역정보화 강사 7명에 대한 인부임, 4대보험료 등 인건비로 1억 1,959만 5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정보화마을 활성화를 위하여 정보화마을 역량강화사업으로 천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행정장비의 현대화 사업은 2020년 1월 14일부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7의 기술지원이 중단될 예정에 따라 노후한 직원 업무용 컴퓨터, 프린터, 모니터 등 교체를 위하여 금년 대비 3억 2,750만 원 증액한 4억 5,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361쪽에서 363쪽입니다.
전산 시스템 고도화 사업에 12억 1,744만 3천 원으로 금년 대비 8억 4,973만 9천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컴퓨터 운영 체제가 윈도10으로 변경됨에 따라 노후화된 보안 장비를 교체하여 보안 위험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행정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전산실, 영상회의실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1억 4,099만 5천 원, 보안 USB 구입 재료비 500만 원, 서버 및 각종 전산시스템 유지 보수, 김천시웹서비스 통합 등을 위한 연구개발비 8억 669만 8천 원, 전산실 보안시스템 교체를 위한 자산취득비 2억 4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4쪽 정보통신망 운영사업은 금년 대비 3억 5,664만 원 감액한 7억 6,162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 내역으로 무기계약근로자 인건비 3,277만 3천 원, 행정통신망 이용료, 전화사용료 및 통신망 유지 관리, 방송실 유지관리 등 시설장비 유지를 위한 일반운영비 5억 7,873만 6천 원, 무정전전원장치 축전지, 통신허브 및 케이블 자재 구입 재료비 1,260만 원, IP 교환 시스템 라이센서 구입을 위한 연구개발비 천만 원, 시청~혁신도시 간 광통신망 구축 공사 설계용역비 2천만 원, 본청 네트워크 그룹 스위칭장비 교체 등 자산취득비 9,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7쪽 사업체 조사입니다.
도비보조사업으로 사업체의 지역별 분포 및 고용구조 파악을 위해 3,939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업체 조사 용역으로 일반운영비 2,778만 9천 원을 편성하였고 조사원 인건비 1,160만 7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경상북도 및 김천시 사회조사입니다.
도비보조사업으로 시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복지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3,388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회조사관리자 인건비 823만 6천 원, 사회조사 용역비 소모품 구입, 안내문 발송을 위한 일반운영비 2,56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68쪽 기록물관리 예산은 4,526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기록관 및 행정자료실 운영 정보 공개 및 기록물 평가심의위원회 운영수당 등 일반운영비 3,214만 원, 기록관 운영을 위한 항균 소독제 구입 재료비 4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9쪽 행정정보화 사업입니다.
금년 대비 1억 6,924만 5천 원 감액한 2억 8,600만 2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 온나라시스템, 표준기록관리시스템 서버장비 및 스토리지, 통합백업장비 유지 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3,553만 2천 원, 기록관 전수조사, 표준기록관리 시스템, 온나라시스템, 백업소프트웨어 유지 보수 등 연구개발비 1억 3,542만 8천 원, 온나라 공통기반 전산장비 시·군재해복구 시스템 유지 보수, 지방행정 공통정보 시스템 서비스 데스크 운영을 위한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위탁사업비 1억 1,504만 2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70쪽 자치단체 공통기반 노후장비 교체 지원입니다.
국비보조사업으로 시·군공통기반 노후장비 교체 리스료 849만 8천 원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국비보조사업인 BTL 전문과학관 지원입니다.
BTL사업으로 추진된 김천녹색미래과학관 시설 임대료 지급을 위해 28억 3,2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녹색미래과학관 운영 활성화 사업으로 13억 8,439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 과학관 업무지원을 위한 기간제근로자 한 명의 인건비 3,180만 원, 풀돔관 램프등 각종 재료비 7,580만 원, 자원봉사자 급식 제공을 위한 일반보상금 224만 원, 과학관 시설 위탁을 위한 민간위탁금 9억 6천만 원, 4D풀돔 영상관 콘텐츠 및 전시 콘텐츠 제작을 위한 자산취득비 9,688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72쪽 창조과학 마인드 확산 사업으로 1억 1,624만 원으로 보다 다양하고 알찬 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속적인 관람객을 확보하고자 금년 대비 4,292만 원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세부 내역으로 과학교실 운영, 과학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홍보물, 강사료 등 일반운영비 5,960만 원, 재료비 5,424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73쪽 무한상상 과학탐구 서바이벌 대전입니다.
내년이면 6회째를 맞는 전국 초·중·고등학생의 아이디어 경연 및 토론대회로서 도비를 보조받아 금년과 동일하게 2억을 계상하였습니다.
올해도 캐나다팀을 포함한 전국 167개팀이 출전해서 열띤 경연을 펼쳤습니다.
다음 녹색미래과학관 과학행사 추진사업은 과학의 날 기념행사로 금년 대비 500만 원 증액하여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무한상상실 운영사업으로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시민과 학생을 대상으로 목공공방, 생활리폼, 3D프린터 등 과학과 문화가 결합된 다양한 행사를 통해 체험하고 창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373쪽 하단 무한상상 창의과학 문화확산 지원사업입니다.
도비보조사업으로 여름방학 중 청소년을 대상으로 과학문화공연, 전시, 체험부스 운영 등을 위한 창의과학 메이커 페스티벌 행사에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74쪽 무한상상실 메이커창작단 양성사업으로 5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연중 메이커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CCTV 통합관제센터 운영사업으로 금년 대비 5억 4,703만 7천 원 증액하여 39억 3,309만 6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 관제원 인건비 12억 5,567만 6천 원, CCTV 및 시스템 유지 보수, 전기료, 통신료 등 일반운영비 12억 5,488만 원입니다.
이어 375쪽 CCTV 설치를 위한 시설비 및 부대비 14억 504만 원, 관제PC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 천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U-City 자가망 운영입니다.
혁신도시에 설치된 통신국사에 무인경비 용역, 혁신도시 U-City 회선사용료, 서버 등 유지 관리를 위해 1억 1,51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76쪽 지능형 스마트관제 시스템 구축사업입니다.
내년도 신규사업으로 도비보조를 받아 움직임이 발생한 영상만을 선별하여 관제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관제 효율을 높이고 사건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고자 5억 2천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행정정보과 소관 2019년도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질의 답변에 들어가겠습니다.
행정정보과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하실 위원님 계시면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영록 위원님!
박영록 위원입니다.
359페이지 보면 민간이전 민간위탁사업에 시민정보화교육 위탁교육비가 5천만 원 계상돼 있네요?
그래서 예산을 2천만 원 더 편성을 해서 1인당 2회 정도까지 기회를 주려고 계획을 했습니다.
그러면 1인당 11만 원 정도 지원이 되는 사업입니다.
그래서 자격증도 취득하고 하는 사업입니다.
그래서 자격증도 취득하고 취업도 도와주는 사업으로서 시민들이 많이 호응을 하고 있습니다.
또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십니까?
백성철 위원님 질의하십시오.
과장님 설명 잘 들었습니다.
360쪽에 정보화마을 사무관리비 있는데 이게 많이 줄었어요.
이게 왜 줄었어요?
올해는 컴퓨터를 새로 사줄 일도 없고 지금 여기에 홍보물 제작비라든지 홈페이지 유지보수비하고 지도자대회 참석 실비 보상해 주는 것만 필요해서 예산을 줄였습니다.
361쪽에 자산취득비에 여기는 많이 늘었네요?
그래서 윈도우10으로 되면 컴퓨터도 용량을 많이 차지하고 하기 때문에 용량이 많은 컴퓨터도 필요하고 지금 노후된 컴퓨터를 계획에 의해서 교체도 하고 성능이 좋은 컴퓨터로 교체를 해서 보급을 할 계획입니다.
인건비가,
아, 인건비가,
1억 8천만 원 늘었잖아요?
작년에 10억 있다가 올해 12억으로 늘었는데,
그래서 200만화소 이상으로 해야 선별도 잘 하고 해서 2009년도부터 설치한 CCTV는 교체할 예정으로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만 더, 376쪽에 지능형 스마트 관제센터 구축, 이것은 어떤 사업이에요?
지금 만약에 이 화면이 12개가 있으면 움직이든 움직이지 않든 그 화면에 다 나타나거든요.
그런데 이 시스템을 도입하면 움직임이 없는 것은 녹화가 되고 움직임이 있는 것만 화면에 나타나게 돼있으니까 관제 대수를 많이 늘릴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왜 이 이야기를 질문하는가 하면 저도 소싯적에 영어 좀 나오고 이래서 우리 아버지한테 용돈 좀 더 타려고 알게 모르게 그런 단어를 써가면서 돈을 빼내는 것이 있는데 여기도 제가 보기에는 김천시 웹서비스 통합하고 공공 테이터 활용 앱 개발, 이렇게 해놨죠?
그리고 PC가 느리고, 제가 알기로는 데이터베이스가 돼서 병렬식으로 해서 모든 정보 시스템을 해서 데이터마이닝을 통해서 불필요한 것은 다 걸러내고 만들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있잖아요?
웹마이닝이라든가 이런 시스템을 차라리 해서, 또 이게 왜 우리가 유지 보수비가 많이 들어가야 되는가 하면 이 시스템을 다 활용을 못하니까 다시 좋은 장비를 해서 우리가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있죠?
그 인력이 필요하면 이렇게 계속 유지 보수 안 해도 해나갈 수 있지 싶은데, 그리고 요새는 빅데이터, 하면서, 아무리 빅데이터 해도 분석할 수 있는 사람이 없으면 그 장비만 자꾸 새 것 들이는 것이지 쓸모 없거든요.
박영록 위원님이 항상 질의하는 것이 뭔가 하면 민원실에 왜 일사천리로 민원처리를 해주지 왜 못하느냐, 우리가 빅데이터 분석만 하면 모든 각 부서의 데이터를 종합해서 한 자리에서 다 처리해 줄 수 있거든요.
우리도 자꾸 유지 보수비가 문제가 아니고 교육을 시켜서라든지 정보 분석을 할 수 있는 능력자를 길렀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시에 무더위 쉼터라든지 그런 앱을 개발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쉽게 말해서 컴퓨터를 잘 못하기 때문에, 휴대폰도 작동을 잘 못하기 때문에 있는 것도 기술만 있으면 엄청난 정보를 받을 수 있는데 우리가 못 다루기 때문에 활용을 못하고 자꾸 새것 좋은 것 기계만 탓하고 받아들이거든요.
참조하셔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예.」하는 이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2019년도 행정정보과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 종결을 선포합니다.
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제4차 자치행정위원회 회의는 내일 오전 10시 보건소 3개 과, 종합민원과, 문화예술회관, 시립도서관, 서울사무소 예산안에 대하여 심사하겠습니다.
오늘 회의는 이것으로 모두 마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6시08분 산회)
이진화 이승우 김병철 김응숙
박영록 백성철 이우청 진기상
○출석 공무원
자치행정국장 석성대
새마을문화관광과장 이도우
스포츠산업과장 구영훈
세 정 과 장 김영박
회 계 과 장 박운용
행정정보과장 조영애
○출석 전문위원
김기식